프리미어 #1) 프로젝트 생성 & 패널의 기능 및 위치 설정 방법
안녕하세요
쉬운 어도비 땡쌤입니다!
오늘은 프리미어 첫 포스팅으로
프리미어를 처음 켰을 때 마주치게 되는 환경에 대해 알아볼게요
패널과 레이아웃은 당장 편집을 하는게 아니다보니
많은 분들이 설렁설렁 넘어갔다가
의외로 굉장히 오랫동안 헤매는 부분이기도 해요
초반에 패널과 레이아웃 개념을 머리에 꼭꼭 넣어두시고
앞으로 편안하게 프리미어를 배우셨으면 좋겠습니다😊💕
1. 프로젝트 생성
프리미어 아이콘을 더블클릭해서 들어가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뜨게 됩니다.
'홈'이라고 부르는 이 화면에서는
새로운 프로젝트를 만들지, 기존에 만들었던 프로젝트를 열지 선택할 수 있고
최근에 작업했던 프로젝트들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① 새로운 프로젝트 만들기
② 기존 프로젝트 열기
③ 최근 사용한 프로젝트 목록
프로젝트란?
편집할 수 있는 상태의 프리미어 파일을 의미합니다.
프로젝트로 영상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프리미어가 꼭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jpg, .mp4와 같은 확장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New project(새 프로젝트 만들기)를 클릭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왼쪽 상단의 Name에 프로젝트명을 적어주시고
Project location에서 저장 경로를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종종 프로젝트명을 아무 의미없이 적으시거나 untitled 상태로 만들어서 작업하시는 분들이 계신데,
프로젝트명=파일명이기 때문에 나중에 쉽게 찾을 수 있도록
각자의 법칙을 만들어서 저장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보통 "날짜_프로젝트명_(세부항목)_버전"
이렇게 저장을 해둡니다 (이건 각자 편한대로!)
편집에 사용할 파일들을 바로 선택해서 프로젝트로 가져올 수 있는데
저는 잘 사용하지 않는 기능이에요.
아직은 예전처럼 프로젝트를 만들어놓고 소스를 가져오는게 편하더라구요^^;
프로젝트명과 경로를 설정 후 오른쪽 하단의 Create를 눌러주시면
프로젝트 창이 생성됩니다.
2. 패널의 이해
작게 이름이 달린 네모를 클릭해보면 파란색 테두리가 생기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각각 선택이 가능한 창을 '패널'이라고 부르고
이 패널들은 이름에 맞는 각각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위 화면에서는 Progect(프로젝트)와 Effects(효과), Effects control(효과 컨트롤) 패널이
하나의 그룹으로 묶여 있는 상태입니다.
이름을 클릭하면 각각 패널이 왔다갔다 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그룹으로 묶어두는 이유는 굳이 동시에 볼 필요 없는 패널을 정리해둠으로써
화면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입니다.
2-1. 패널 이동
패널은 위치를 바꾸고
그룹을 묶거나 다시 해제하고
각각 사이즈를 조정할 수도 있습니다.
패널 이름을 클릭해서 원하는 위치로 드래그하면
(이름을 잘 잡고 이동해주셔야 해요!)
위 사진처럼 다섯개의 부분이 표시되며 파란색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고 알려줍니다.
이번에는 Effects control(효과 컨트롤) 패널 이름을 잡아서
Effects(효과)패널 이름 위에 위치해 보았습니다.
Effects와 Effects control이 하나의 그룹으로 묶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2. 패널 닫기 & 열기
자주 쓰지 않거나 필요 없는 패널은 화면에 보이지 않게 닫아두고,
실수로 끄거나 필요한 패널은 다시 화면에 꺼낼 수도 있습니다.
아까도 말했듯이 이건 한정된 모니터 화면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함입니다.
필요 없는 패널은 이름에서 마우스 우클릭 - close panel(패널 닫기)을 선택하면
간단하게 끌 수 있습니다
화면에 나와있지 않은 패널을 다시 꺼내고 싶다면
상단의 window(창) 항목을 클릭해서 모든 패널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빨간 네모로 표시된 부분이 모두 패널입니다.
필요한 패널을 체크해서 꺼내주시면 되고,
반대로 필요 없지만 체크된 패널이 있다면 다시 한 번 클릭해서
체크를 해제해주시면 됩니다.
프로젝트는 동시에 여러개를 열 수 있기 때문에
Projects 옆 확장 버튼(>)을 눌러주시면
각각의 프로젝트를 끄거나 켤 수 있습니다.
이렇게 패널이 자리잡은 상태, 즉 레이아웃을
'Work space(작업영역)'라고 부릅니다.
Work space를 저장하고 활용하는 법은
두 번째 강의에서 알아보도록 할게요😊
-
땡쌤의 글이 도움이 됐다면 구독과 ❤️